
[광흥타임즈 = 조수제 기자] 가짜뉴스를 반복적으로 생산하여 최근 인터넷신문협회로부터 제명된 스카이데일리에게 올해에만 무려 1억 7천여 만원의 정부광고 예산이 집행된 사실이 드러났다.
매체의 공신력이 떨어져도 지자체나 공공기관의 보도자료를 내주기만 하면 국민 세금을 묻지마 식으로 퍼주고 있는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이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스카이데일리에 82건, 총 1억 7,100만원의 정부광고가 집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가짜뉴스로 내란을 동조한 매체에게도 지속적으로 혈세가 투입되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올해 스카이데일리에 가장 많은 정부광고를 집행한 곳은 인천광역시로 총 28건 총 5,922만원을 집행하며 지자체 중 1위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인천광역시청 1,980만 원 ▲인천경제자유구역청 900만원 ▲인천도시공사 620만 원 등 인천광역시 15개 기관에서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동기의 4,230만원 보다도 오히려 더 증가한 수치이다.
스카이데일리의 가짜뉴스 보도 이후 민간기업은 광고를 철회했지만, 인천시는 아이러니하게도 지난해 보다 더 많이 광고비를 지급한 것이다.
또한 임오경 의원실이 올해 스카이데일리에 정부광고를 집행한 지자체들에 집행 경위와 기준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 지자체가‘스카이데일리는 출입 언론사로 등록된 매체이며, 보도자료를 받아 기사화 해주고 있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주를 이뤘으며, 지자체별로 자체적인 정부광고의 세부 집행기준이 없는 곳도 있었다.
임의원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위협한 매체에도 버젓이 정부광고가 집행되는 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언론중재위, 한국신문윤리위, 인터넷신문윤리위 등에서 가짜뉴스로 인한 오보판정 및 주의·경고를 받은 매체에 대해서는 정부광고를 제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문체부가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강조했다.
한편 스카이데일리는 최근 5년 간 신문윤리위원회와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로부터 총 166건의 주의·경고를 받았으며, 최근 인터넷신문협회로부터 제명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