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흥타임즈] 광명시가 194억 원을 들여 추진 중인 ‘광명아트센터’ 건립이 시의회에서 집중 질타를 받았다. 시설 규모와 예산에 비해 콘텐츠·운영·입지 등 핵심 계획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미술관 전환을 전제로 하면서도 미술관 등록에 필요한 소장품 확보 계획이 전무하다는 점은 기본을 놓친 행정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최소 100점, 약 10억 원 규모의 소장품 예산이 빠져 있다면 사업의 정체성 자체가 흔들린다.
입지·경쟁력의 부족 또한 문제다. 기형도문학관의 낮은 관람 수요를 극복할 방안 없이 전시 공간 하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문화 인프라 확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더구나 내년 개관하는 금천구 ‘서서울미술관’은 규모와 콘텐츠 면에서 훨씬 앞서 있어, 활용도 전망은 불투명하다.
주차·교통 대책은 사실상 부재에 가깝다. 200억 원에 가까운 공공시설이 “인근 주차장 공유”나 “버스로 오면 된다”는 설명에 의존하는 것은 시민의 눈높이와 동떨어져 있다.
경기도 투자심사가 ‘조건부 승인’에 그친 점도 사업의 완성도가 낮다는 방증이다. 특히 건축비 과다 산정 문제는 철저한 검증과 조정이 필요하다.
광명시는 50만 도시로 성장할 미래를 이야기하지만, 정작 도시 전체 문화 인프라 전략은 빈약하다. 도서관 리모델링, 신도시 공공택지 내 통합 문화시설 등 다양한 대안이 가능한데도 “기형도문학관 옆 빈터에 문화시설 하나 더”라는 수준에서 머물러서는 안 된다.
문화시설은 건물을 짓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도시의 문화적 가치와 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방향성이 핵심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아트센터 공사를 서두르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수요·운영계획을 포함한 전체 전략을 새롭게 세우는 일이다.
광명아트센터 사업은 다시 설계돼야 한다. 수백억 원의 시민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만들어 놓기식 행정’이 아닌 정교하고 책임 있는 계획이 절실하다.
